CPC, CPA, CPS, CPM, eCPM, SMB 용어
CPC, CPA, CPS, CPM, eCPM, SMB 용어
CPC란 Cost Per Click의 약자로 광고 클릭당 단가가 정해져 광고료를 지급하는 형식 이다.
광고비용은 노출횟수와 상관없이 링크를 클릭했을 때만 지불된다.
-CPA-
CPA란 Cost Per Action의 약자로 광고를 보고 링크를 따라가 소비자가 특정 행동을 취할 때 마다 돈을 지급해주는 방식이다.
광고주가 회원가입, 설문지, 프로그램 설치등등 특정 행동과 횟수를 지정하여 광고비를 지급해준다.
모바일에서는 게임을 설치하면 보상을 주는 것 같이 특정행동이 중요하다.
-CPS-
CPS란 Cost Per Sale의 약자로 광고를 본 소비자가 광고 상품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금액의 일정부분이나 고정적인 수익을 지급해주는 방식이다. 지급방식이 이렇다보니 블로그에 사람이 많을수록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CPM-
CPM이란 Cost Per Mille의 약자로 광고를 1000회 노출 시키는데 사용된 비용을 의미하지만 최근 게임업계에서 배너 광고를 진행하면서 방문자 대비 광고 단가 책정의 수단으로 사용한다.(요즘은 일반적으로 월정액제 광고 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화 된 이후 사람들은 스마트폰에 이 광고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예를 들어 무료로 출시된 안드로이드 버젼의 앵그리버드 광고수익은 100만 달러(약11억)에 이른다고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광고 방식은 포털사이트 상위노출만 되면 수익은 보장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eCPM |
eCPM과 RPM 모두 1,000회 노출당 예상 수입을 가리키는 통계입니다. |
공식: |
eCPM 또는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
|
SMB (Small & Medium Businesses). |
- 중소형기업 광고주를 부를 때 흔히쓰는 용어
by Superkong ~~~
#온라인광고용어, #cpc, #cpm, #eCPM, #smb, #cpa, #cps, #모바일광고